CS/Network 55

[Chapter 1] 네트워크의 기초 용어와 기능(주소 정보의 관리)

일반 사용자가 호스트를 지칭할 때 사용하는 호스트 이름을 도메인 이름이라 하며, 인터넷에서는 이를 IP주소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초기 인터넷에서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변환하였으나, 지금은 DNS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사용해서 보다 체계적인 방법으로 관리하고 있다. 호스트 파일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변환하는 간단한 방법은 특정 파일에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의 조합을 기록, 관리하는 것이다.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호스트 이름을 이 파일에서 검색하여 일대일로 대응된 IP 주소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호스트 파일은 한 줄에 하나의 호스트 정보가 기록되며, 일반 텍스트 문서 형식으로 보관된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관리 대상이 되는 모든 컴퓨터..

CS/Network 2025.02.06

[Chapter 1] 네트워크의 기초 용어와 기능(네트워크 주소의 표현)

시스템을 설계할 때는 기능이나 목적과 함께 고유의 구분자(Identifier)를 부여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먼저 고려해야 한다.디지털화 된 컴퓨터에서는 구분자를 숫자로 된 주소로 표현할 수 밖에 없다.주소 표현 방식은 일반 사용자에게 불편하므로 보통은 외우기 쉬운 기호 형식의 이름을 추가로 사용한다.주소와 이름은 일대일(1:1)관계가 이루어지며, 이들을 연결하는 기능이 필요하다.대상을 유일하게 구별하는 구분자는 일반적으로 아래의 네 가지 특징이 있다. 유일성구분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대상 시스템을 서로 구분하여 지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시스템이 같은 구분자를 갖지 않는 유일성을 보장해야 한다. 확장성시스템은 시간이 흐르면서 이용자가 증가하는 보편화 과정이 진행되므로 자연스럽게 규모가 확장된다...

CS/Network 2025.02.06

[Chapter 1] 네트워크의 기능(OSI 7계층)

네트워크는 다수의 시스템을 전송 매체로 연결해 구성한 시스템들의 집합체이다.소규모의 네트워크들은 전송 매체로 연결되어 더 큰 네트워크로 확장할 수 있다. 컴퓨터 네트워크는 외형상 호스트 시스템과 전송 매체로 구분하며, 수행하는 내부 기능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구조로세분화할 수 있다. (호스트가 제공하는 복잡한 네트워크 기능을 연관될 그룹으로 묶어 계층 모델로 설명할 수 있다.) 계층 모델특징이 다른 여러 호스트를 서로 연결해서 통신하려면 연결 방식을 표준화 해야 한다. 국제표준화 단체인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에서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모델을 제안하여,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이 갖춰야 할 기능을 상세히 정의했다..

CS/Network 2025.02.06

[Chapter 1] 네트워크의 기초 용어와 기능(시스템 기초 용어)

시스템의 구분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시스템이 반드시 컴퓨터처럼 복잡한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으로 가정한다.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행 기능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부를 수 있다. 노드 Node는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을 가장 일반화한 용어이다.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모든 시스템을 통칭하여 사용한다. 호스트Host는 일반적으로 컴퓨팅 기능이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일반 사용자가 호스트 내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므로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창구 역할을 한다. 클라이언트호스트를 세분할 때 호스트 사이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기준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눌 수 있다.Client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스템이고, Server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호스트는 다양한 ..

CS/Network 2025.02.06

[Chapter 1] 네트워크의 기초 용어와 기능(네트워크 기초 용어)

네트워크(Network)는 전송 매체(Transmission Media)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모음이며,시스템과 전송 매체의 연결 지점에 대한 규격이 인터페이스이다.시스템이 데이터를 교환할 때는 임의의 통신 규칙인 프로토콜(Protocol)을 따른다.프로토콜처럼 서로 다른 시스템을 상호 연동해 동작시키려면 연동 형식의 통일이 필요하고이 통신을 표준화(Standardization)라고 한다. 시스템들은 물리적으로 공유하는 전송 매체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다.시스템이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려면 반드시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흔히 사용하는 인터넷은 IP(Internet Protocol)라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집합체이다.1. 시스템시스템은 내..

CS/Network 2025.02.06